localtunnel 사용법
localtunnel 설치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해 정리한 페이지입니다.
Tags
localtunnel
개요
localtunnel 설치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해 정리한 페이지입니다.
localtunnel
개념
localtunnel은 로컬에서 실행 중인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임시 URL로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. 즉, localtunnel을 사용하면 로컬에서 개발 중인 서버(Ex. localhost:3000)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특징
localtunnel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
무료 서비스localtunnel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, 별도의 회원가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.개발 및 테스트용로컬에서 개발 중인 서버가 외부에서 잘 동작하는지 개발/테스트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포트 지정 가능로컬 서버의 포트를 그대로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.
커스텀 서브도메인원하는 이름으로 UR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(Ex. yourname.loca.lt)
설치 방법
npm
node.js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, npm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. -g 옵션을 사용하여 글로벌로 설치하면 됩니다.
1
npm install -g localtunnel
Homebrew
Homebrew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,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.
1
brew install localtunnel
사용 방법
먼저 로컬 서버를 실행해야 합니다. 다음과 같은 HTML에 대해 localhost:5500에서 실행한다고 가정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 /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index.css" />
<title>localtunnel Example</title>
</head>
<body>
<h1>localtunnel Example</h1>
</body>
</html>
Info.
VSCode에서 Live Server라는 Extension을 설치하여 실행하였습니다.
로컬 서버가 실행되었으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localtunnel을 실행합니다.
1
lt --port <포트 번호>
또는
1
lt --port <포트 번호> --subdomain <서브도메인>
표시된 URL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타납니다. 해당 페이지에는 Tunnel Password를 입력하는 부분이 있는데, 웹 페이지 하단에 표시된 링크(https://loca.lt/mytunnelpassword)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 공인 IP 주소를 입력한 후 Click to Submit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Click to Submit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외부에서 로컬 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.






